마을관리 설립목적과 배경 및 운영방식
페이지 정보

본문
설립목적 : 주민들의 직접적인 참여로 마을 내의 공동문제를 해결하고, 지역사회 전체의 복지 증진과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는 목적을 가지고 설립되었다. 마을 관리에 있어 단순히 행정이나 외부 기관에 의존하지 않고, 마을 사람들 스스로가 운영 주체가 되어 마을을 직접 관리하겠다는 취지에서 출발한다. 비영리 협동조합으로 일반 기업이나 영리 협동조합과는 성격이 다르며, 법적으로는 「협동조합 기본법」과 「사회적기업 육성법」 등에 따라 설립 및 운영된다.
설립배경 : 도시재생 마중물사업의 추진 이후 지역에 만들어진 시설의 관리가 필요해졌다. 이에 따라 지역 주민들의 자발적 참여를 통해 시설을 운영하는 것이 필요해졌다. 도시재생사업은 주민 참여를 통한 지역재생을 목적으로 두어 노후화된 도시를 물리적·경제적·사회적으로 활성화하는 과정이다. 도시재생사업의 초기 단계에서 마중물사업은 공공시설 조성, 기반시설 정비, 공동체 활성화 등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지역 변화의 촉진제 역할을 수행하였다.
마중물사업 종료 이후에도 도시재생의 지속성을 확보하고, 주민 주도의 지역재생을 통해 주민이 직접 변화를 실천하고 체감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해졌다. 그리하여 마중물사업이 끝난 이후에도 지속적인 운영과 관리를 위한 주민 조직이 필요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마을관리 사회적협동조합이 등장하게 되었다. 또한 도시재생사업으로 공급되는 기초생활인프라(공동이용시설, 공영주차장, 어울림플랫폼, 복합문화시설 등)를 운영관리할 수 있는 주민 중심의 자조조직이 요구되었고, 주민 자조조직이 도시의 기능회복을 위한 다양한 활동(노후주택 수리, 지역사회 일자리 창출 등)을 영위하여 주민 삶의 질 개선에 기여하기 위해 2019년부터 꾸준히 마을관리 사회적협동조합이 만들어지게 되었다.
운영방식 : 마을관리 사회적협동조합은 지역사회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주민들이 직접 마을의 공공시설을 관리하고 운영하며, 지역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활동을 수행한다.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협동조합을 운영할 수 있다.
도시재생 사업으로 조성된 공원, 복지관, 주차장, 커뮤니티센터 등 다양한 공공시설을 지속 가능하게 유지·관리하는 것이 주요 업무 중 하나다. 공공의 자산을 공공의 힘으로 관리한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 또한 주민들이 실질적으로 필요로 하는 생활 밀착형 서비스, 예컨대 공공세탁, 주차 대행, 청소 서비스 등을 제공함으로써 주민들의 편의를 높이고 지역 내 서비스 생태계를 구축한다. 주민들의 편의를 위한 생태계를 구축하여 주민들에게 필요한 재화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조합을 통해 마을 축제, 교육 프로그램, 커뮤니티 행사 등을 주관하여 주민 간 교류를 촉진할 수 있다. 이러한 행사들로 인해 공동체 의식을 강화하여 지역 공동체 활성화 역할을 수행한다.
지역 기반 비즈니스 발굴 및 개발을 통해 마을관리 사회적협동조합을 운영할 수 있다. 지역의 특성을 살린 로컬 브랜드, 농산물 가공, 관광자원 연계 사업 등 새로운 사업 모델을 구상하고 실현함으로써, 지역 내 자립 구조를 만들어가는 데 이바지한다. 비즈니스 모델을 통해 마을관리 사회적협동조합은 수익을 얻을 수 있다. 마을관리 사회적협동조합은 비영리 조합이므로 사업을 통해 발생한 수익은 조합원에게 배당되지 않고, 마을 공동체 활성화나 주민 복지 사업 등에 재투자된다. 이러한 재투자로 지속적인 운영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마을관리 사회적협동조합은 국가적 지원을 받아 설립된 후에 자립하는 형태를 띈다. 마을 주민들이 스스로 공공자치를 통해 조합을 운영하는 방식으로 조합의 운영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면 마을에 좋은 영향을 지속적으로 만들어낼 수 있다.
- 이전글창립총회 의사록 25.06.28
- 다음글2025년 정기총회 25.06.1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